본문 바로가기
돈 되는 이야기

DB형 vs DC형 vs IRP 계좌 특징 한 눈에 정리

by cholss 2025. 8. 3.
반응형

퇴직연금은 노후 자산 준비의 핵심 제도로, 직장인뿐만 아니라 소득이 있는 모든 이들이 알아야 할 중요한 금융 시스템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DB형(확정급여형), DC형(확정기여형), IRP(개인형퇴직연금)의 특징과 장단점을 명확히 비교하고, 각 제도별 활용 전략을 정리했습니다.


📌 1. DB형(확정급여형) 계좌의 특징

수령 금액이 확정: 퇴직 시 받을 금액이 사전에 정해집니다.
운용 책임 주체: 회사가 운용을 담당하며, 근로자는 리스크 부담이 없습니다.
안정성: 장기 근속자와 대기업 근로자에게 유리.
주의점: 기업 파산 시 퇴직급여 미지급 위험이 존재합니다. 퇴직연금 공단 설립 이후 이 리스크는 완화될 예정이지만 여전히 점검 필요.


📌 2. DC형(확정기여형) 계좌의 특징

운용 주체: 회사가 매년 일정 금액을 근로자 계좌에 납입하고, 근로자가 직접 운용.
수익 변동성: 투자 성과에 따라 퇴직금 수령액이 달라집니다.
주의점: 금융 지식 부족 시 원금 손실 가능성 존재.
💡 적극적인 투자 관리와 정기적 수익률 점검 필수!

✔ DC형 퇴직연금 투자 전략

  • 📊 투자 다각화: 예금, 펀드, ETF 등으로 분산 투자.
  • 🔄 리밸런싱: 시장 변화에 따라 포트폴리오 조정.
  • 🛡 디폴트옵션 활용: 2022년 7월 도입된 제도로, 투자자가 별도 지시하지 않아도 자동 투자 가능.

📌 3. IRP(개인형퇴직연금) 계좌의 특징

가입 대상: 근로자뿐 아니라 사업소득자, 프리랜서 등 소득이 있는 국민 모두 가입 가능.
세제 혜택: 연간 최대 700만 원 세액공제 가능.
퇴직소득세 절감: 퇴직금을 IRP로 수령 시 세금 부담 완화.
💡 DB/DC형에 추가 납입 가능하여 노후 자산 확대 가능.


 

 

 

📊 4. 퇴직연금 수익률 시뮬레이션 (연봉 5,000만 원 기준)

가입 기간 총 납입 원금 저수익률 (연 2%) 중간 수익률 (연 5%) 고수익률 (연 8%)
10년 4,170만 원 약 4,600만 원 약 5,400만 원 약 6,400만 원
20년 8,340만 원 약 1억 300만 원 약 1억 4,400만 원 약 2억 700만 원
30년 1억 2,510만 원 약 1억 7,400만 원 약 2억 8,800만 원 약 5억 1,000만 원

※ 세전 기준, 복리 계산 예시입니다.


📌 결론

퇴직연금은 각 제도의 특징과 장단점을 이해하고 본인 상황에 맞는 선택을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- 안정성 중시 → DB형
- 투자 성향 적극적 → DC형
- 추가 세제 혜택 활용 → IRP

적극적인 관리와 정보 업데이트가 건강한 노후 자산 마련의 시작입니다.


 

반응형